3D 프린팅 기술은 재료의 종류, 프린팅 방법,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됩니다. 이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재료 종류에 따른 분류:
- 열성형 프린팅 (FDM): 열을 이용하여 필라멘트 형태의 재료를 녹여 가공하는 방식으로, ABS나 PLA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를 주로 사용합니다.
- 광경화 프린팅 (SLA, DLP): UV 빛을 이용하여 광경화성 수지를 층층이 경화시키는 방식으로, 강성 수지나 투명 수지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합니다.
- 분말 침착 프린팅 (SLS, SLM): 레이저나 열에 의해 분말 재료를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, 금속, 세라믹,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합니다.
- 액체 프린팅 (SLA, PolyJet): 액체 재료를 층층이 경화시켜 프린트하는 방식으로, 고해상도와 다양한 재료 선택이 가능합니다.
프린팅 방법에 따른 분류:
- 층적 프린팅 (Layer-by-Layer): 3D 모델을 수평 층으로 쪼개어 각 층을 차례로 쌓아가는 방식입니다. 대부분의 3D 프린터가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.
- 등방성 프린팅 (Continuous): 층 쌓음 없이 3D 모델을 연속적으로 만들어내는 방식으로, CLIP (Continuous Liquid Interface Production)과 같은 기술이 포함됩니다.
응용 분야에 따른 분류:
- 산업용 3D 프린팅: 항공우주, 자동차, 의료기기 등 산업 분야에서 부품 제작 및 프로토타입 생산에 활용됩니다.
- 의료용 3D 프린팅: 인체 조직 모델링, 의료기기 제작, 보철물 제작 등 의료 분야에서 활용됩니다.
- 교육용 3D 프린팅: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과학 교육 및 창의성 개발을 위해 활용됩니다.
- 개인용 3D 프린팅: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, 장식품, 장난감, 개인적인 창작물 등을 제작합니다.
이러한 다양한 분류를 통해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영역과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. 다음에는 좀 더 세분화 된 내용으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
반응형
'3D프린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D프린터 전용 소프트웨어의 종류 (0) | 2024.03.25 |
---|---|
금속AM 제조사들의 장단점과 대표모델 (0) | 2024.03.24 |
FDM 프린터의 제조사의 장단점 및 대표모델 (0) | 2024.03.23 |
금속 AM의 분류와 장단점 (1) | 2024.03.22 |
FDM 프린팅의 주요 분류와 장단점 (0) | 2024.03.21 |